260. 슬기로운 언어생활 >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료실

  • 지방자치센터
  • 자료실

자료실

260. 슬기로운 언어생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지방활력연대 작성일 22-12-08 17:33 조회 77회 댓글 0건

본문

슬기로운 언어생활

2022.12.08. 국제신문[인문학 칼럼]

 

·글을 매만지는 수고, 언어 잘 다루려면 필수

사회적 책임 큰 이라면 이런 노력이 더 절실해

 

말과 글은 너무도 일상적인 것이라 쉽게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 주변에 말을 옳고 바르게 잘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만큼 언어생활은 어려운 외줄타기와 같아서 잘하려면 지혜와 훈련이 필요하다. 로마 시인 호라티우스는 시학에서 언어생활의 위태로움을 이렇게 표현했다. “간결하게 쓰려고 애쓰다 모호한 글을 쓰고, 섬세하게 쓰려다 맥없고 힘없는 글이 됩니다. 큰 걸 호언하다 과장합니다. 조심조심 격정을 피하다 소심하게 땅을 기고, 단조로움을 넉넉하게 변주하고 싶어 하다 돌고래를 숲에, 멧돼지를 바다에 보태어 그립니다. 기술이 없으면 잘못을 피하려다 실수를 범합니다.”

 

그렇다면 기술을 익혀서 실수와 잘못을 피할 수 있겠다 싶지만, 기술을 배운다 해도 말과 글을 잘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에라레 후마눔 Errare humanum.’ 사람은 실수하기 마련이다. 사실 인간 본성상 도저히 피할 수 없는 잘못과 실수라서 어쩔 수 없는 것도 있다. 하물며 위대한 시인 호메로스도 때로 졸 때가 있었다니, 다른 이들이야 말해 무엇 하겠는가? 사실 비속어 한두 개쯤은 사소하다고 눈감아 줄 수도 있다. 문제는 거듭해서 같은 실수와 잘못을 반복하는 것이다. 필사자가 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키타라 연주자가 같은 현을 계속 헛짚는다면, 어찌해야 할까?

 

어떤 분야는 탁월하지 않고 평범해도 참아줄 만한 분야가 있다. 뛰어난 변호사가 아니고 간신히 수졸을 면한 신세라도 간단한 사건을 맡아 밥벌이는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분야는 평범해서는 안 된다. 계속해서 같은 실수를, 같은 과오를 반복해서는 절대로 안 되는 직업이 있다. 이런 필사자는 다른 일거리를 찾아야 하고, 이런 연주자는 다른 밥벌이를 찾아야 한다. 일단 잘못 세상에 나온 책은 바로잡기 어렵고, 한 번 망친 연주자에게 두 번의 기회는 좀처럼 주어지지 않는다. 한번 뱉은 말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기에 언어생활도 더욱 신중해야 할 것이다.

 

슬기로운 언어생활의 요체는 말과 글을 공글리는 시간과 수고다. 많은 날들을 두고 거듭해서 지우개로 지우고 단련하고, 손톱으로 열 번 완벽하게 칼의 날을 세우듯, 매만져야 한다. 이런 연습과 노력이 없이 언어생활을 타고난 자질에 맡기려 한다면, 이는 술이 불러일으킨 광기와 열정에 기대어 좋은 시를 쓴다고 믿으며, 봄기운 살랑일 때 부풀어 오른 검은 담즙 멜랑콜리아를 탐하고, 머리도 감지 않고 수염도 깎지 않고 목욕도 하지 않고 광증에 몸을 맡겨, 불타는 화산에 뛰어든 시인을 따라 하는 어리석음이다.

 

세계적인 체육 경합에서 결승선을 제일 먼저 통과하여 승리의 월계관을 머리에 쓰려는 젊은이는 어려서 더위와 추위 속에 많이 견디고 참으며 단련했고 여자와 술을 멀리한다. 세계적인 음악 경합에 출전하여 우열을 다투는 연주자는 일찍이 어려서부터 배우고 선생님들 앞에서 추상같은 불호령에 떨었다. 열심히 쓴 글이라도 사람들은 이건 고치게’, ‘이것도 고치게한다. 여기저기 잘못과 실수를 지적한다. 여기저기 고치라고 하다가 급기야는 이건 다시 쓰라고도 한다. 한가한 어구를 비난하고, 거친 어구를 꾸짖고, 중언부언에 줄을 그어 지워버리고, 지나치게 야심을 부린 문장을 자르라, 불분명한 문장에 빛을 주라, 모호한 언급을 바꿔라 훈계한다. 이때 훌륭한 사람은 빛을 잃은 단어를, 무게를 잃은 단어를, 부당하게 영광을 누리는 단어를 가차 없이 지우고 없앤다. 과장을 단속하며, 지나치게 거친 말을 다듬고, 빈약한 말을 축출한다. 말과 글을 잘하려는 사람에게 단련은 혹독한 법이다.

 

여기서 로마의 호구감찰관 카토의 말은 정곡을 찌른다. ‘가혹한 정적들은 달콤하다고 생각한 친구들보다 때로 도움이 되는데, 정적들은 간혹 진실을 말하지만, 친구들은 결코 말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끔한 지적을 불편해하는 사람에게는 결국 아첨꾼 친구들만 주변에 남게 된다. 비웃는 자가 누구보다 감격하는 법이다. 기대에 부풀어 보여준 글을 굉장한데, 좋은데, 제대로 쓴 글인걸하며 창백한 표정으로, 우정 어린 눈빛으로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춤추고 발로 땅을 구르기도 한다. 장례식에 울어 달라 돈 받고 응한 이들이 영혼으로 슬퍼하는 이들보다 더 슬퍼 보이는 것처럼 말이다. 적들의 아부에 취해 거짓의 탈을 쓴 영혼에게 속으면 결국 세상의 웃음거리가 되고 만다.

 

 

말과 글을 살뜰히 살피고 고치라는 시인 호라티우스의 당부는 사실 언어생활만을 염두에 둔 것은 아니다. 언어생활은 모든 사회 활동의 토대이고 근본이다. 고쳐지지 않는 막말과 비속어의 언어 습관은 장차 어떤 활동과 성과를 보여줄지를 미리 말해주기도 한다. 특히 맡은 사회적 책임이 크고 중한 경우라면 더욱 그러하다. 주변의 아첨꾼들에게 속고, 자기 자신에 도취되어 버린 어리석은 오만은 더없이 높은 곳으로 올라가 더욱 처참하게 무너질 것이다.

 

김진식 로마문학 박사·정암학당 연구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우)57213 전남 장성군 장성읍 단풍로 241 TEL&FAX (061)394-8885 E-mail jibang888@naver.com

Copyright © 2020 지방활력연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