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마한 역사문화권 정비(4) >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료실

  • 지방관광센터
  • 자료실

자료실

26. 마한 역사문화권 정비(4)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지방활력연대 작성일 20-12-26 01:52 조회 26회 댓글 0건

본문

마한 역사문화권 정비(4)


(4) 학계와 민간차원의 활동

 

마한 문화, 르네상스를 보고 싶다

20201202() 광주일보

 

발견된 유물은 금동관, 금동신발, 대도, 도자, 도끼, , 화살, , 이식, 구옥, 관옥, 여러 면옥, 소옥 등 하나하나 열거할 수 없을 정도이다. 때는 바야흐로 세밑이고 또한 연일 눈이 내려 두텁게 쌓이므로 충분한 조사를 실시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유감스럽지만 잠시 조사를 중지하고 다음 해를 기약하며 귀청 길에 올랐다.” 조선총독부 고적조사위원회가 작성한 다이쇼(大正) 6년도(1917) 고적 조사 보고의 일부이다. (국립 나주박물관 펴냄 신촌리 금동관, 그 시대를 만나다에서)

야쓰이 세이이쓰(谷井濟一) 등 일본인 발굴자들은 191712, 나주 반남고분군 가운데 신촌리 9호분과 덕산리 4호분을 발굴했다. 이 가운데 신촌리 9호분 을관(乙棺)에서 금동관과 금동신발 등 다량의 부장품을 수습했다. 이들이 나중에 작성한 조사보고서는 유물의 가치에 비해 너무나 짧은 한 쪽 분량의 문서와 사진 8장에 불과했다.

 

103년 전에 발굴된 신촌리 9호분 유물을 보기 위해 지난 주말에 국립 나주박물관을 찾았다. 전시실 내 금동관(국보 제295)은 단번에 눈길을 사로잡았다. 옆에는 금동신발 한 켤레를 비롯해 봉황이 장식된 큰 칼과 세 갈래 잎이 장식된 칼 등이 전시돼 있었다. 푸른 녹이 슨 금동관과 금동신발을 바라보며 아득한 마한 시대로 시간 여행을 떠났다.

 

영산강 주위에 산재한 고분은 마한의 타임캡슐이다. 당시 일본인 발굴자들은 그 장법과 관계 유물로 추정하건대 아마도 왜인(倭人)’일 것이라 여겼지만 현재 국내 전문가들은 고분의 주인공을 4~5세기 영산강 지역에 자리 잡고 있던 토착 세력의 최고 권력자 중 한 명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 1113일 서울 중구 프레스 센터. 이날 전남도와 국립 나주문화재연구소 공동 주최로 열린 ‘2020 영산강 유역 마한 문화 포럼에서는 대형 옹관을 봉인하는 이색 행사가 진행됐다. 마한 역사 문화를 본격적으로 알리기 위해 김영록 전남도지사와 정재숙 문화재청장 등 참석자들이 옹관 안에 금동관과 금동신발(재현품)을 집어넣는 상징적인 퍼포먼스를 펼친 것이다.

 

재조명되는 잃어버린 왕국

 

역사 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이 내년 6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특별법은 6개 문화권(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마한, 탐라)을 대상으로 한다. 마한 역사 문화권 범위는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전남 일대 마한 시대의 유적·유물이 분포돼 있는 지역으로 규정하고 있다. ‘마한 문화권에서 빠진 광주시는 재조정을 요구하고 있다. 영산강 상류인 광주에도 신창동 유적(국가사적 제375)을 비롯해 월계동 장고분과 명화동 고분 등 상당한 마한 유적이 산재해 있기 때문이다.

 

요즘 잃어버린 왕국마한이 재조명되고 있다. 지난 4월 영암군 시종면 내동리 쌍무덤에서 금동관 조각이 출토되며 마한 역사 문화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도도 부쩍 높아졌다. 당시 발굴로 마한의 독자성에 더욱 무게가 실렸다. 나주·영암의 금동관은 백제의 하사품이 아니라는 것이다. 고고학자 임영진 마한연구원장(전 전남대 교수)나주 금동관과 영암 금동관은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마지막 마한 세력의 정치적 독자성을 나타내는 가장 상징적인 유물이라며 영암에서 출토된 금동관은 나주 금동관과 같은 곳에서 제작되었을 것이지만 정확한 제작지에 대해서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광주일보 916일자 마한의 금동왕관과 금동상투관’)

스토리텔링과 축제 통합 필요

 

마한 역사 문화권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백제 속국이 아닌 마한의 문화적 전통과 독자성을 찾는 여러 부문의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마한 역사 문화권’ 11개 시·군 간의 공동 협력이다. 나주와 영암이 각각 마한축제를 개최하고 있지만 통합 추진을 모색해야 한다. 광주와 전남의 경우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나주 복암 아파트형고분군과 반남 고분군, 국립 나주박물관, 그리고 영암 내동리쌍무덤, 마한문화공원, 옥야리 고분군 등을 연계하는 탐방 프로그램도 좋을 것 같다. 현재는 행정구역으로 나뉘었지만 마한 시대에는 그러한 경계가 없었을 터이니 말이다.

 

마한을 테마로 한 스토리텔링도 아쉽다. 국립 나주박물관 내 마한시대 유물은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한다. 복암리 3호분에서 나온 녹슨 관고리를 보며 고()최인호 작가가 쓴 4의 제국을 떠올렸다. 바람개비 모양의 파형동기’(巴形銅器)를 단서로 가야의 역사 속으로 들어가는 소설이다. 신창동 유적에서 출토된 반쪽짜리 고대 현악기나 용머리장식을 한 금동신발을 착용한 채 묻힌 정촌고분의 40대 여성 수장(首長) 등에 상상과 신화를 더해 소설이나 음악·드라마·영화 등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

 

마한은 광주·전남 역사의 뿌리이다. 르네상스 시대에 고대 그리스·로마를 재발견한 것처럼, 우리는 잃어버린 마한 역사 문화를 재생’ ‘부활시켜야 한다.

 

/송 기 동 편집부국장·문화2부장 song@kwangju.co.kr

 

 

마한문화권과 동신대

 

'영산강유역 고대 마한문화 재조명' 25일 동신대서 국제학술회의

 

2018-10-23

나주=뉴시스이창우 기자 = 22일 전남 나주시가 올해 4회째 개최한 '마한문화축제'에 역대 최다 관람객 165000여명이 다녀가면서 흥행몰이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진은 지난 19일 오후 축제의 서막을 알린 '천 년 나주, 마한행렬' 2018.10.22 (사진=나주시 제공) photo@newsis.com

 

무안=뉴시스배상현 기자 = 전남도문화관광재단 전남문화재연구소는 영산강 유역 마한문화권 개발사업을 위해 마한에 대한 심층연구 및 학술정보 공유 장을 마련하는 영산강유역 마한문화의 재조명국제학술대회를 25일 나주 동신대학교에서 개최한다.

 

영산강유역 마한문화의 재조명국제학술대회는 전남지역 고대사회의 독자적 문화를 꽃 피웠던 마한의 역사와 문화를 영산강유역권 중심으로 재조명하고, 마한의 실체를 밝히기 위해 국내·외 연구자들과 전남도민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한국고고학회 회장인 이청규 영남대학교 교수의 유력 개인묘의 변천과 삼한 초기사회의 형성’, 임영진 전남대학교 교수의 영산강유역 마한 사회의 소멸 과정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마한 초기 사회의 형성과 마한사회의 소멸 과정에 대해 살펴보며 마한문화에 대해 폭넓은 논의가 이어진다.

 

윤용구 인천도시공사 박사, 최영주 전남대학교 강사, 우꿰이비잉(吳桂兵) 중국 남경대학교 교수, 시케후지 테루유키(重藤輝行) 일본 좌하대학교 교수 등 전문가들이 마한문화의 출현과 변천 과정 등을 주제로 발표하고 토론도 한다.

 

종합토론에서는 임영진 교수를 좌장으로 김낙중 전북대학교 교수, 박중환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과장 등이 토론자로 참여해 발표자와 함께 마한문화의 출현과 변천 과정을 토론한다.

 

학술대회 다음날인 26일에는 전남도민과 국내·외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함평 금산리 방대형고분, 나주 복암리고분, 영암 내동리쌍무덤 등 영산강유역 마한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유적을 중심으로 답사가 이뤄진다.

 

이번 학술대회는 전남도가 주최하고 전남도문화관광재단이 주관한다. 학술대회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재단 문화재연구소(061-287-6805)로 문의하면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우)57213 전남 장성군 장성읍 단풍로 241 TEL&FAX (061)394-8885 E-mail jibang888@naver.com

Copyright © 2020 지방활력연대 All rights reserved.